영화리뷰 / / 2022. 12. 16. 16:17

영화 <올빼미>, 맹인 침술사의 처세술

반응형

맹인 침술사 경수 실력을 인정받아 궁에 입성

어려운 여건 속에서 부모 없이 아픈 어린 동생을 키우며 열심히 살아가는 경수는 맹인인 침술사이다. 그러나 경수는 맹인이지만 밝은 때에는 전혀 볼 수 없고 어둠 속에서는 희미하게는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다.  경수는 자신이 밤에는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숨기고 살아간다.  경수는 비록 맹인이지만 뛰어난 침술 실력을 지녔고 이를 어의 이형익으로부터 자신의 실력을 인정받아서 궁으로 들어가게 된다.  경수는 궁에 들어가서 남들처럼 성공하여 아픈 동생을 잘 치료하여 병도 낫게 하고 싶고 동생과 같이 잘 살 기회라 생각하고 매우 기뻐한다.  이를 위하여 동생과 잠시 헤어져 생활하여야 하는 것도 감수하고 궁으로 들어가게 된다.  궁에 들어가면서 궁에서는 들어도 못 들은 척, 봐도 못 본 것처럼 해야 한다 라는 충고를 간 짓 한채 궁에서의 생활을 한다. 이는 경수가 궁에서 살아남기 위한 체세다.

 

소현세자의 죽음을 목격하게 되는 경수

경수가 궁에 들어가는 시점에 청나라에 잡혀갔던 소현세자와 소현세자의 부인 강빈이 귀국하게 된다.  무려 8년간 청나라에 불모로 잡혀갔던 세자와 세자빈이 돌아와도 인조는 반가운 마음도 잠시 무엇인지 모를 정체를 알 수 없는 불안감에 놓이게 된다.  한편, 경수는 기침을 달고 있는 소현세자를 돌봐 달라는 부탁을 받아 세자에게 침을 놓은 등 소현세자와 정을 쌓게 된다.  그러든 어느 날 밤 우연히 어두움 속에서 서현 세자의 죽음을 목격하게 되고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불안한 인조 청을 등에 업은 소현세자 독살

망한 명나라의 끈을 놓치 않고 있는 인조는 빈번히 새로운 나라를 세운 청나라를 등에 업고 있는 소현세자와 의견 충돌을 일으켰으며 항상 인조는 소현세자가 못마땅하고 불안하여 결국 어의 이형익에게 은밀하게 세자를 독살하라고 밀서를 전달한다.  그러든 어느 날 세자가 아프다는 상궁의 말을 듣고 경수는 어의 이형익과 함께 세자 처소에 들어가게 된다.  상궁에게 심부름을 시킨 후 경수가 앞을 못 보는 맹인이라고 생각하고 그 자리에서 어의는 독침으로 세자를 죽이게 된다.  경수는 이를 앞에서 목격하게 된다. 경수는 세자와는 정이 들고 힘들 때 격려해주시던 분이라 더욱 놀라서 진정할 수가  없게 도니다.  유일한 소현세자의 죽음을 목격한 경수는 사건의 진실을 알리려고 노력하지만 노력할수록 더 큰 비밀과 음모가 들러나 목숨이 위태롭게 되는데

 

관객의 몰입과 마음을 사로잡는 올빼미

비록, 소현세자가 죽던 밤과 동이트는 새벽 사이 사투를 벌이는 하룻밤의 이야기를 그렸지만,  이 영화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관객의 몰입과 마음을 사고 잡는 영화다. 여기에서 배우들의 리얼한 연기력을 보자면 경수 역을 맡은 류준열 배우는 맹인 침술사라는 역할이 많이 부담스러울 수 도 있는데 인물의 심리까지 매우 잘 표현한 것 같았고,  인조 역을 맡은 유해진 배우는 항상 그랬듯이 관객이 흡족할 수 있는 연기 즉, 어리석은 임금의 모습, 인조만이 가지고 있는 심리와 감정을 잘 표현한 것 같다.   또한, 소현세자 역을 맡은 김성철 배우는 소현세자의 시대적 배경과 아버지인 인조와의 대립관계 등 환경의 모습을 잘 표현해 주었으며,  다른 배우들도 각자 맡은 역할들을 잘 소화하여 완성도의 작품을 만들어 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침술사 맹인의 주인공 설정 또한 매우 참신한 것 같다.  특히, 밝을 때는 앞이 보이지 않지만 어두운 밤에는 희미하게는 볼 수 있는 맹인 설정은 더욱 영화를 재미있게 만들었다.  맹인 침술사를 힘없는 백성을 비유한 듯하며 대사 중에 명대사인 들어도 못 들은 척, 봐도 못 본 척하며 살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하여야만  힘없는 백성은 주어진 삶까지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긴박하고 숨박이는 장면에서 살아남기 위한 맹인 침술사의 처세술을 보게 되는 장면,  충격적인 사건들을 맹인 침술사 경수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만들어준 장면,  불이 꺼지는 순간 서서히 경수의 눈이 떠지며 앞이 보이게 하는 장면, 그리고 앞이 보이지 않을 때 소리에 의존해야 하는 사운드까지 연출자가 매우 치밀히 고 섬세하게 접근하여 관객으로부터 몰입을 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설정, 연출, 배우들의 노력들이 합쳐져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